근육의 작용 (주동근, 길항근, 보조근) & 근 긴장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리는 근육(muscle)에 대해 지속적으로 배워왔어요.
오늘 아주 재미있는 근육의 작용 이론을 배워볼텐데요.
주동근, 길항근, 보조근(협력근,협조근) 이라는 3가지 근육을 들어보셨나요?
주동근
동작 실행 시, 직접적으로 가장 주된 힘을 발휘하는 근육 , 몸의 특정 움직임을 주로 담당하는 근육
길항근
주동근과 반대 작용을 하는 근육 (ex.주동근 이완 시, 길항근은 수축됨)
아래 그림을 보겠습니다. 우리도 직접 팔을 굽혀볼까요?
팔을 굽혔을 때 상완이두근이 주로 쓰이며 두껍게 수축되며 강화되는게 느껴지구요,
반대편의 상완삼두근은 길게 이완된게 느껴질거에요.
따라서 이 운동에서는 상완이두근이 주동근이 되고, 반대편 상완삼두근은 길항근이 되는거죠.
* 혹시 아직도 근육 이름이 헷갈린다면 [팔 근육] 글을 읽고 오세요
또 다른 사진을 한 번 더 보고 익혀볼게요.
팔을 굴곡했 때는 위 사례와 같이 주동근은 상완이두근, 길항근은 상완삼두근이었죠.
이번엔 직접 팔을 쭉 펼치며 신전시켜볼게요.
뒷쪽의 상완삼두근이 주동근이 되어 단축되고, 앞쪽의 상완이두근은 길항근이 되어 이완된걸 느낄 수 있어요.
위 사진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2개의 근육만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대표적인 근육 이름들을 배우고 있지만, 팔에는 2개의 근육만 있는건 아니잖아요.
자! 이제 협조근을 배울 차례에요.
협조근
주동근을 도와 보조적으로 활동하는 근육 (주동근이 수축할 때, 주동근을 보조함)
바로 우리 팔 옆쪽에는 상완근이라는 근육이 있어요.
바로 이 상완근이 팔을 굴곡할 때, 주동근인 상완이두근을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역할을 한답니다.
즉, 협조근 역할을 하는것이지요.
여기서 끝난게 아닙니다. 근육의 특성을 조금 더 알려드릴게요!
우리는 지난번 근 수축(Muscle Contraction)에 대해 배웠어요.
등척성 수축, 등장성 수축 기억 나시나요?
근 수축이라는 말은 위 사진에서도 볼 수 있듯이 , 동작으로 특정 근육이 힘을 받아 통통하게 단축된 상태로 예측이 되는데요.
이번에는 근 긴장(Muscle Tension)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근육이 긴장이 되었다는 말은 누가봐도 좋게 들리지 않아요.
근 긴장은 단축성 긴장과 이완성 긴장 2가지로 나뉜답니다.
단축성 긴장
근 길이가 '짧아져서', 근 긴장도가 높아진 경우
이완(신장)성 긴장
근 길이가 '늘어나서', 근 긴장도가 높아진 경우
예를 들어, 팔베게를 하고 오랜시간 잠들었다고 생각해보세요.
상완이두근(팔 안쪽)은 단축성 긴장이 되고, 상완삼두근(팔 바깥 뒷쪽)은 이완성 긴장이 되겠죠.
이렇게 특정 자세로 근 긴장이 지속되면 , 근육 균형이 무너지게 되요.
균형있는 근육 발달을 위해서 특정 동작만 반복하거나 , 특정 자세를 유지하는건 지양해야겠죠!
응용을 하나 해보겠습니다. 상부 교차 증후근은 다음 시간에 상세하게 배울텐데요.
라운드숄더에 거북목인 사람의 경우 (여러분도 동작을 직접 따라해보세요),
가슴 위쪽에 위치한 대흉근이 단축되고 (단축성 긴장) , 등쪽에 위치한 하부승모근, 능형근이 이완되어 늘어난게(이완성 긴장) 느껴질거에요.
따라서 대흉근을 이완시켜주고, 등쪽 근육을 단축시켜 강화 운동을 해준다면 도움이 될 거에요.
이런 원리를 알고 운동을 배운다면, 더 건강하게 운동할 수 있겠죠!? :D